검색결과 리스트
People/인터뷰 카테고리 총 107개 콘텐츠
-
삼성문화재단 류문형 대표와의 인터뷰: 문화예술로 사회에 기여하다
글. 학생홍보대사 장은빈(학사 20) 어떠한 계기로 삼성물산에 입사하여 지금의 자리까지 오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취업을 준비할 때 여러 진로를 고민하면서 해외에서 일해 보고 싶은 마음이 컸습니다. 당시 삼성물산이 해외에서 근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회사라고 생각하여 지원하여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마침 삼성에 지역전문가 제도가 생겨 독일 지역전문가로 독일을 경험한 후에 1995년부터 2006년까지 11년간 독일에서 해외 주재 근무를 하였습니다. 이후에는 삼성전자 지원팀에서 근무하였고 2014년 말부터 2020년까지 삼성전자 북미총괄 지원팀장으로 뉴욕에서 활동하다가 삼성문화재단으로 왔습니다. 경영대 학생들에게 삼성문화재단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삼성문화재단은 1965년 이병철 창업회장의 나눔의 철학을..
2023.04.19 -
전략/국제경영 분야 신임교수 및 회계학 신임교수 소개
글. 학생홍보대사 서건호(학사 17), 임채은(학사 20) 여기까지의 여정이 어떻게 되시나요? 저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98학번으로 입학하여 동 대학원에서 국제경영 전공으로 석사를 받고, University of Pennsylvania, Wharton School에서 경영 전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인디아나 주에 있는 Purdue University에서 6년 동안, 고려대학교에서 4년 반 동안 교수 생활을 하다 올해 3월부터 서울대학교 경영대학교에 부임하게 되었습니다. 모교로 돌아와 연구와 강의를 하시게 되셨는데 소감이 어떠신가요? 많은 교수님들이 서울대 경영대를 모교로 하고 있어서 생각이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경영대 축구부, N-CEO, IFS 등의 ..
2023.04.19 -
LG 첫 외부 출신 인사팀장, 김이경 전무가 전하는 이야기
LG에서 현재 맡고 계신 역할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LG그룹의 지주회사인 ㈜LG 인사육성팀장으로서 그룹 차원의 인사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크게 세 가지 책임이 있는데요, 첫째, LG의 경쟁사가 탐내는 탁월한 사업가와 LG구성원이 같이 일하고 싶어하는 훌륭한 리더를 양성하는 것. 둘째, LG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인사제도를 갖추는 것. 셋째, LG의 인재가 자긍심을 가지고 일하고 성장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드는 것입니다. 제가 맡은 역할을 저의 Mission Statement로 조금 달리 표현해 보자면, 5P (Purpose, People, Passion, Potential, Performance)가 가득한 LG를 만드는 것입니다...
2023.02.17 -
거시경제에 밝은 경제정책통, 한훈 통계청장과의 만남
청장님의 학부생활은 어떠셨나요? 제가 87년도에 입학했는데, 그 당시에 취업 자체는 그리 어렵지 않았기 때문에 1,2학년 때에는 학업보다는 동아리 활동 등의 다양한 경험을 했습니다. 2학년 말부터 졸업 후의 진로에 대해서 고민을 하였고 학업을 병행하면서 고시 준비를 했습니다. 기억에 남는 경영학과 수업이 있나요? 학부 때 가장 관심을 가졌던 분야는 회계학이었습니다. 이정호 교수님의 회계원리 수업을 들으면서 기업에 대한 정보를 복식 부기를 통해 숫자로 표현하여 이해 관계자들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정보를 생성한다는 것에 매력을 느꼈고, 그 이후 회계 분야에서 일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행정고시를 통해 공직 생활의 진로를 선택한 계기가 무엇인가요? 행정고시 재경직은 4학년에 1차,..
2023.02.17 -
도현명 임팩트스퀘어 대표가 전하는 비즈니스 가치
대표님께서는 어떤 학부생활을 보내셨나요? 아주 평범하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외부 활동도 이것저것 해보고, 수업도 경영대 수업 외에 인류학이나 미학 심지어는 자연과학 쪽의 수업도 들으러 돌아다녔습니다. 좋게 이야기하면 매우 자유롭고 호기심 많은 학부 생활이었다고 말씀드릴 수 있고, 나쁘게 이야기하면 매우 번잡하게 이것저것 기웃거리는 학생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대학시절 기억에 남는 경영학과 수업이 있나요? 김상훈 교수님의 마케팅 수업이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이 수업에서 배운 것들을 이후에 종종 써먹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곽수근 교수님의 기업경영특강에서 기업에 대한 관점을 많이 배웠습니다. 굉장히 큰 인사이트를 많이 얻었던 수업이라고 기억납니다. 대학 시절 혹은 대표님이 진로를 선택하게 된 계..
2022.12.23 -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김민영 넷플릭스 콘텐츠 VP가 전하는 이야기
넷플릭스 콘텐츠 VP(인도 외 아시아 태평양 지역)로서 회사 내에서 담당하시는 업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인도를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한국,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의 동남아, 호주 등)에서 다양한 콘텐츠 (시리즈, 영화, 다큐멘터리, 예능, 애니메이션 등)를 해당 국가의 작가, 감독, 제작자 등 창작자들과 협업해 직접 제작하거나, 스튜디오, 배급사 등을 통해 구매하는 업무를 하고 있어요. 이제는 아시아에서 넷플릭스가 수급하는 콘텐츠의 규모가 꽤 크기 때문에 당연히 여러 국가에서 상주하면서 현지 크리에이터들과 직접 소통하고 있는 팀원들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현재 직책을 맡으시기까지 커리어 측면의 많은 여정이 있으셨을 것 같은데요. 어렸을 때부터 콘텐츠 소비를 무척 많이 했어요. 영화..
2022.12.23 -
여러 분야 거친 경제관료, 윤태식 관세청장 인터뷰
올해 관세청장으로 임명되신 소감이 어떠신가요? 기쁘면서도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30여 년의 공직생활을 거쳐서 차관급 자리이자 관세청의 최고위직을 맡게 되었다는 기쁜 마음이 크지만, 5,300여 명의 직원을 가지고 우리나라 모든 공항과 항만에서 국경 수호와 국민안전 보호라는 미션을 수행하고 있는 관세청 조직을 어떻게 이끌어 나가야 할지에 대한 고민과 책임감도 무겁게 다가옵니다. 관세청장으로서 굉장히 다양한 업무에 관여하시고 바쁜 하루를 보내실 것 같습니다. 보통 하루 일과가 어떻게 되시나요? 아침 출근해서 언론의 관세청 및 우리 경제 관련 주요 기사를 먼저 읽습니다. 과거 기획재정부 대변인 근무경험 등을 통해 언론 대응/활용 그리고 기사 등을 통해 전반적인 국내외 경제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2022.12.23 -
경영대 최초 석좌교수 임용, 이유재 교수를 만나다
서울대학교 석좌교수는 전체 교수 2천여 명 중 1%에게 주어지는 영광스러운 자리라고 알고 있습니다. 올해 9월 경영대 최초로 서울대 석좌교수로 임명되셔 더욱 감회가 남다를 것 같습니다. 현재 교내 14명의 석좌교수님 중 한 분으로 자리하시게 되신 소감 말씀 부탁드립니다. 그동안 쌓아온 연구 업적을 인정받은 셈이니 개인적으로 무척 기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경영학이 학문적으로 인정받은 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여러모로 부족하지만, 주위 많은 분들이 성원해주신 덕분입니다. 경영대에는 훌륭한 교수님들이 많아서 앞으로 줄지어 석좌교수가 나올 것을 확신합니다. 저는 그 마중물 역할을 한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향후 연구 및 활동 계획이 있으신가요? 임명하신 취지에 걸맞도록 꾸준히 연구에 매..
2022.10.25
RECENT COMMENT